"내 재산 100%는 딸에게"…홍진경, 방송 중 유언 남기자 PD가 던진 선 넘은 한마디

 방송인 홍진경이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마음의 번아웃을 고백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정을 공개했다.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 '공부왕 찐천재'를 통해 공개된 영상에서 홍진경은 평소와 다른 낮은 텐션으로 등장해 팬들의 우려를 샀다. 담당 PD가 "텐션을 올리라", "우울한 것 하지 말라"며 분위기를 띄우려 노력했지만, 그녀의 지친 기색은 역력했다. 결국 홍진경은 "살기 위해" 떠난다며, 개그맨 고명환이 살고 있는 욕지도로 향하는 여정을 시작했다. 그녀는 과거 큰 교통사고로 죽을 고비를 넘긴 뒤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게 된 고명환을 만나기 위해 먼 길을 마다하지 않는다며 이번 여정의 절박한 이유를 설명했다.

 

여정 내내 홍진경은 자신의 과거를 솔직하게 털어놓으며 시청자들의 마음을 울렸다. 그녀는 자신 역시 "죽을 고비를 세 번이나 넘겼다"고 충격적인 고백을 이어갔다. 뜨거운 한증막에서 잠이 들어 혼수상태에 빠질 뻔했던 아찔한 순간, 암 투병으로 힘들었던 시기, 그리고 어린 딸 라엘을 업고 일본에서 차도를 건너려다 찰나의 머뭇거림 덕에 큰 사고를 피했던 경험까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었던 순간들을 담담하게 회상했다. 이는 그녀가 현재 겪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이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님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었다.

 


하지만 방송은 시종일관 무겁게만 흐르지 않았다. 홍진경의 진솔한 고백에 담당 PD는 "세 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겼는데 뭐가 달라졌냐"는 허를 찌르는 '돌직구' 질문을 던졌다. 이에 홍진경은 잠시 머뭇거리다 "그다지 달라지지 않았다"고 답하며 웃음을 터뜨려, 무거웠던 분위기를 단숨에 반전시켰다. 이처럼 그녀의 영상은 삶의 깊은 고뇌와 특유의 유머 감각이 기묘하게 어우러지는 '단짠' 매력을 선보였다. 심지어 PD가 "자꾸 우울하게 말하면 임종 브이로그를 찍겠다"고 농담을 던지자, 홍진경은 진지하게 자신의 장례식은 성북동 성당에서 치르고 싶다는 구체적인 바람을 밝히기도 했다.

 

이들의 '티키타카'는 재산 문제로까지 이어졌다. PD가 장례식장으로 언급된 성당의 주차 문제를 지적하며 웃음을 유발한 데 이어, 전 재산을 누구에게 줄 것이냐는 질문을 던졌다. 홍진경이 망설임 없이 "딸 라엘에게 100% 줘야 한다"고 답하자, PD는 "성당에 기부할 줄 알았다"며  짓궂게 공격했다. 이에 홍진경은 "물려줄 돈도 없다"며 손사래를 치는 모습으로 마무리됐다. 이처럼 홍진경의 영상은 '조울증 블로그'라는 자극적인 제목 아래, 죽음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유쾌한 수다로 풀어내며 삶의 아이러니를 보여주는 독특한 콘텐츠로 남았다.

 

여행핫클립

뉴진스 멤버가 뛰러 갔다는 '이 마라톤', 참가비만 3300만원?

tic Ice Marathon)'이다. 평소 마라톤을 취미로 알려진 해당 멤버가 다음 달 열리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남극으로 향한 것이 아니냐는 팬들의 추측이 제기되면서, 일반인에게는 생소했던 극한의 레이스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마라톤은 매년 12월, 남반구의 겨울에 해당하는 시기에 남극 대륙의 유니언 글레이셔 인근에서 펼쳐지는 42.195km 풀코스 경주로, 지구상에서 가장 특별하고 혹독한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남극 얼음 마라톤은 일반적인 도시 마라톤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극한의 환경에서 진행된다. 평균 체감온도는 영하 20도를 밑돌고, 발은 푹푹 빠지는 설상과 미끄러운 얼음 위를 달려야 한다. 여기에 더해 남극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부는 차갑고 강력한 활강풍, 이른바 '카타바틱 윈드'가 끊임없이 몰아치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거센 바람을 온몸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일반적으로 칠레 최남단 도시인 푼타 아레나스에서 전용기를 타고 남극 현지 베이스캠프로 이동한 뒤 레이스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그 과정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탐험과도 같다.이처럼 혹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남극 얼음 마라톤은 전 세계 모험 마라토너들에게 '꿈의 대회'로 불린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오세아니아, 그리고 남극까지 지구의 7대륙 모두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7대륙 마라톤 클럽' 가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관문이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한 대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된 참가비용은 1인당 2만 2,5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282만 원에 달한다. 이 비용에는 남극까지의 왕복 항공편, 현지 캠프 숙박 및 식사, 전문적인 의료 및 안전 지원, 그리고 특수 장비 대여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비싼 참가비만큼이나 준비 과정 역시 까다롭기 그지없다. 극한의 추위 속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생명과 직결되므로 여러 겹의 기능성 의류를 껴입는 것은 기본이며, 눈과 얼음 위를 달리기 위한 특수 설상화와 아이젠,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한 마스크 등 전문적인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실전 레이스에서는 거센 바람과 불안정한 지면 탓에 속도를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시간 기록 단축보다는 완주 그 자체를 가장 큰 성과이자 영광으로 여긴다. 엄청난 비용과 상상을 초월하는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탓에, 이 꿈의 무대에 서는 일반인 참가자의 수는 매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