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인 없었으면 어쩔 뻔'…PSG, 100번째 경기서 '결승골 어시스트'로 팀 구한 영웅에 찬사

 이강인이 파리 생제르맹(PSG) 유니폼을 입고 치른 통산 100번째 경기에서 팀의 승리를 이끄는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자신의 가치를 완벽하게 증명했다. PSG는 10일(한국시간) 열린 리옹과의 리그앙 12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팽팽한 접전 끝에 3-2로 신승을 거뒀다. 이강인은 선발 출전하여 오른쪽 측면을 책임졌고, 2-2로 맞서던 후반 추가시간, 날카로운 코너킥으로 주앙 네베스의 헤더 결승골을 도우며 승리의 일등 공신이 됐다. 구단으로부터 100경기 출전 기념 패를 수여받은 이강인은 이날 경기에서 최고의 활약으로 자축하며 팀의 리그 선두 수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냈다.

 

하지만 이 기념비적인 경기까지의 과정이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2023년 여름 PSG에 합류해 첫 시즌부터 국내 대회 3관왕을 달성하고, 지난 시즌에는 꿈의 무대인 챔피언스리그 우승까지 경험했지만, 올 시즌 초반에는 힘겨운 주전 경쟁에 직면해야 했다. 우스만 뎀벨레, 데지레 두에 등과의 포지션 경쟁에서 밀리며 교체로 나서는 시간이 길어졌고, 한때는 이적설까지 불거지기도 했다. 그러나 PSG는 그의 잠재력을 믿었다. 프랑스 현지 매체에 따르면 구단은 "경기에 못 나와 힘든가? 불평하지 말고 받아들여라. 깨어나는 건 네 몫이다"라는 내부 메시지를 통해 의도적으로 경쟁을 유도하며 이강인의 성장을 자극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단의 이러한 '충격 요법'은 이강인에게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됐다. 여름 휴식기 동안 스스로를 돌아보며 절치부심한 그는 최근 그라운드 위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니스전 추가시간 결승골을 도운 코너킥, 강호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득점으로 이어진 정확한 크로스에 이어 이날 리옹전 결승골 어시스트까지, 최근 3경기 연속 팀의 승패를 가르는 결정적인 순간에 관여하며 해결사 본능을 뽐냈다. 통계는 그의 영향력을 더욱 명확히 보여준다. 올 시즌 90분당 슈팅 관여 횟수가 리그앙 전체 1위를 기록할 정도로 공격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으며, 양 측면과 중앙을 모두 소화하는 다재다능함은 전술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루이스 엔리케 감독 역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경기 후 그는 "이강인의 100번째 경기를 축하한다. 그는 특별한 재능을 갖췄고 계속 발전하려 노력한다"며 깊은 신뢰를 보냈다. 한때의 시련을 딛고 다시 한번 자신의 실력을 입증한 이강인은 이제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A대표팀에 합류해 다가오는 평가전을 준비한다. 클럽에서의 상승세를 대표팀에서도 이어가며 한국 축구의 중심으로 활약할 그의 발걸음에 기대가 모아진다. 시련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아 더 단단해진 이강인은 PSG의 믿음에 최고의 경기력으로 응답하며 더 높은 곳을 향한 비상을 준비하고 있다.

 

여행핫클립

모차르트 고향이 왜 '소금 도시'?…잘츠부르크에 숨겨진 비밀

. 과거 바다였던 곳이 지각 변동으로 융기하며 형성된 고산지대의 소금 지형이 대표적이다. 미국 유타주의 솔트레이크시티는 그레이트솔트 호수와 로키산맥 사이에 광활한 소금 평원을 자랑하며, 남미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은 비가 내리면 하늘을 비추는 거대한 거울로 변해 수많은 이들의 여행 버킷리스트에 이름을 올린다. 고구려 동명성왕이 소금을 채취했다고 전해지는 티베트의 소금산 역시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며 바다가 솟아올라 만들어진 경이로운 자연의 산물이다.유럽 대륙에서는 땅속 깊은 곳에 숨겨진 암염이 도시의 운명을 바꾸었다. '소금'을 의미하는 'Sal'과 'Hal'이라는 어원을 이름에 품은 도시들이 그 증거다.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소금의 성'이라는 뜻처럼 거대한 소금 광산을 기반으로 번영을 누렸다. 같은 나라의 할슈타트는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하나로 손꼽히지만, 그 본질은 수천 년 역사의 소금 광산 도시다. 1만 2천 년 전 인류의 거주 흔적이 남아있는 이 고대 도시에서는 배를 타고 땅속 호수를 건너고 리프트와 열차를 타며 광산을 탐험하는 독특한 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여행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폴란드의 비엘리츠카 소금광산이나 독일의 소금 동굴 치료 시설 역시 소금이 만들어낸 이색적인 관광 자원이다.바닷물을 이용해 소금을 생산하던 염전 지대 또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새로운 관광지로 거듭났다. 세계 최고 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하는 프랑스 게랑드 염전 인근에는 유서 깊은 항구도시 낭트가 자리 잡아 시너지를 내고 있다. 육지에 갇힌 바닷물이 오랜 세월 증발하며 형성된 이스라엘과 요르단 국경의 사해는 일반 바다보다 훨씬 높은 염도 덕분에 물에 몸을 맡기면 저절로 떠오르는 신비한 부력 체험으로 명성이 높다. 고대 잉카제국의 지혜가 깃든 페루 살리나스의 계단식 소금밭 역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어우러져 독특하고 장엄한 풍경을 연출하며 여행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소금의 흔적은 비단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땅 곳곳에도 소금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그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서울의 염창동(鹽倉洞)과 염리동(鹽里洞)은 과거 소금 창고와 소금 상인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었음을 이름으로 말해주고 있으며, 강원도 정선의 염장봉(鹽藏峰) 역시 소금을 보관하던 곳이라는 유래를 품고 있다. 이처럼 소금은 인류의 생존을 책임졌던 필수 자원을 넘어, 오랜 시간과 자연, 그리고 인간의 역사가 빚어낸 독특한 문화 경관을 형성하며 오늘날까지 그 중요성과 가치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