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탕후루 그만 좀' 악플에…초등학생 가수 서이브가 보인 의외의 반응

 가수 서이브가 '마라탕후루'의 신드롬급 인기에 대한 소회와 그 이면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지난해 발매된 '마라탕후루'는 공개 4일 만에 조회수 100만을 돌파하는 등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수많은 크리에이터와 또래 친구들이 챌린지 열풍에 동참하면서 서이브는 갑작스러운 유명세를 실감했다. 그녀는 팬들이 생기고 팔로워가 늘어나는 상황이 신기하고 좋았다며, 이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2017년부터 크리에이터 활동을 시작한 그녀는 이 곡의 히트로 만 11세라는 최연소 나이에 지상파 음악방송 무대에 서는 등 전례 없는 기록을 쓰기도 했다.

 

폭발적인 인기 뒤에는 그림자도 따랐다. "언제까지 마라탕후루를 우려먹을 것이냐", "알고리즘에 그만 좀 떠라"와 같은 악성 댓글이 쏟아진 것이다. 하지만 서이브는 이러한 부정적인 반응에 흔들리지 않는 강한 정신력을 보여주었다. 오히려 자신에게 쏟아지는 관심의 반증으로 여기며 긍정적으로 생각하기에 부담감을 느낀 적은 한 번도 없다고 당당히 말했다. 음원 수익과 같은 현실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부모님이 관리해주신다고 밝혔다. 부모님이 그녀의 이름으로 따로 통장을 개설했으며, 활동으로 번 돈은 모두 그곳에 모아두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통장은 만 19세가 넘어야만 열 수 있는 특별한 통장이라고 덧붙였다.

 


'마라탕후루'의 인기는 국내에만 머물지 않았다. 최근 공개된 'Say yes'의 '마라탕후루' 버전은 캄보디아와 대만 등 해외 음원 차트 순위권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대만에서는 원곡의 인기가 상당했기에 현지 활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서이브는 대만 배우 겸 뮤지션인 이옥새(Dino Lee)와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진행했으며, 그가 직접 서이브를 위한 곡을 만들어주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 인연을 계기로 대만에 머물며 현지 인터뷰, 라디오, 예능 방송 등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을 소화하며 글로벌 팬들과 만났다.

 

이러한 활동의 원동력은 그녀의 확고한 의지와 부모님의 전폭적인 지지다. 모델 출신 방송인 이파니의 딸이기도 한 서이브는 부모님이 매니저처럼 모든 스케줄에 동행하며 헌신적으로 돕고 있다고 말했다. 부모님은 그녀가 힘들어 보일 때면 쉬어도 된다고 걱정하지만, 정작 본인은 이 일이 너무 좋아서 멈출 수 없다며 강한 열정을 드러냈다. 앞으로도 모두가 즐겁게 웃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 그녀는, 각 나라에서 최선을 다하는 만큼 많은 사랑을 부탁하며 더욱 멋진 모습으로 성장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여행핫클립

모차르트 고향이 왜 '소금 도시'?…잘츠부르크에 숨겨진 비밀

. 과거 바다였던 곳이 지각 변동으로 융기하며 형성된 고산지대의 소금 지형이 대표적이다. 미국 유타주의 솔트레이크시티는 그레이트솔트 호수와 로키산맥 사이에 광활한 소금 평원을 자랑하며, 남미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사막은 비가 내리면 하늘을 비추는 거대한 거울로 변해 수많은 이들의 여행 버킷리스트에 이름을 올린다. 고구려 동명성왕이 소금을 채취했다고 전해지는 티베트의 소금산 역시 인도 대륙이 유라시아 대륙과 충돌하며 바다가 솟아올라 만들어진 경이로운 자연의 산물이다.유럽 대륙에서는 땅속 깊은 곳에 숨겨진 암염이 도시의 운명을 바꾸었다. '소금'을 의미하는 'Sal'과 'Hal'이라는 어원을 이름에 품은 도시들이 그 증거다.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소금의 성'이라는 뜻처럼 거대한 소금 광산을 기반으로 번영을 누렸다. 같은 나라의 할슈타트는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중 하나로 손꼽히지만, 그 본질은 수천 년 역사의 소금 광산 도시다. 1만 2천 년 전 인류의 거주 흔적이 남아있는 이 고대 도시에서는 배를 타고 땅속 호수를 건너고 리프트와 열차를 타며 광산을 탐험하는 독특한 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여행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폴란드의 비엘리츠카 소금광산이나 독일의 소금 동굴 치료 시설 역시 소금이 만들어낸 이색적인 관광 자원이다.바닷물을 이용해 소금을 생산하던 염전 지대 또한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새로운 관광지로 거듭났다. 세계 최고 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하는 프랑스 게랑드 염전 인근에는 유서 깊은 항구도시 낭트가 자리 잡아 시너지를 내고 있다. 육지에 갇힌 바닷물이 오랜 세월 증발하며 형성된 이스라엘과 요르단 국경의 사해는 일반 바다보다 훨씬 높은 염도 덕분에 물에 몸을 맡기면 저절로 떠오르는 신비한 부력 체험으로 명성이 높다. 고대 잉카제국의 지혜가 깃든 페루 살리나스의 계단식 소금밭 역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어우러져 독특하고 장엄한 풍경을 연출하며 여행객들의 발길을 붙잡는다.소금의 흔적은 비단 먼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땅 곳곳에도 소금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그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서울의 염창동(鹽倉洞)과 염리동(鹽里洞)은 과거 소금 창고와 소금 상인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었음을 이름으로 말해주고 있으며, 강원도 정선의 염장봉(鹽藏峰) 역시 소금을 보관하던 곳이라는 유래를 품고 있다. 이처럼 소금은 인류의 생존을 책임졌던 필수 자원을 넘어, 오랜 시간과 자연, 그리고 인간의 역사가 빚어낸 독특한 문화 경관을 형성하며 오늘날까지 그 중요성과 가치를 다채로운 방식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