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불이 붙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몸에 불이 붙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람의 피부는 쉽게 불이 붙지 않는다. 

 

이것은 물이 많고 산소가 없기 때문이다. 

 

불이 붙으면 옷일 가능성이 크다. 

 

김포 한 소방서 화재조사반장은 “일반 면은 잘 타지 않지만 아웃도어 제품, 특히 경량화를 위해 옷 안에 공기층을 형성한 제품들은 도화선처럼 불이 붙을 수 있다. 

 

화재를 진압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불이 붙기 쉬운 옷을 빨리 벗는 것이다. 불에 타 녹아서 피부에 달라붙는 화학섬유는 지속적인 화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모든 옷을 벗는 것이 가장 좋다.

 

5초 안에 옷을 벗기 힘들 것 같으면 엎드려 뒹굴 수밖에 없다. 

 

연기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양손으로 눈, 코, 입을 가리고 빠르게 바닥에서 엎드려 뒹군다. 

 

간단하지만 이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인화성 물질인 휘발유가 몸에 묻었다면 일반인이 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산소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덮는 질식소화다.

 

실내라면 이불, 실외라면 아우터가 대표적인데 젖어 있는 경우 더 좋다.

 

인체에 가할 수 있는 피해가 불 못지않기 때문에 소화기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소화기는 분말 소화기인데 탄산나트륨, 인산암모늄 등 소량으로도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소화기는 주변에 산소를 차단할 수 있는 적당한 물체가 없을 때 사람의 호흡기를 최대한 피해 짧은 시간 동안만 사용해야 한다.

 

여행핫클립

뉴진스 멤버가 뛰러 갔다는 '이 마라톤', 참가비만 3300만원?

tic Ice Marathon)'이다. 평소 마라톤을 취미로 알려진 해당 멤버가 다음 달 열리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남극으로 향한 것이 아니냐는 팬들의 추측이 제기되면서, 일반인에게는 생소했던 극한의 레이스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마라톤은 매년 12월, 남반구의 겨울에 해당하는 시기에 남극 대륙의 유니언 글레이셔 인근에서 펼쳐지는 42.195km 풀코스 경주로, 지구상에서 가장 특별하고 혹독한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남극 얼음 마라톤은 일반적인 도시 마라톤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극한의 환경에서 진행된다. 평균 체감온도는 영하 20도를 밑돌고, 발은 푹푹 빠지는 설상과 미끄러운 얼음 위를 달려야 한다. 여기에 더해 남극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부는 차갑고 강력한 활강풍, 이른바 '카타바틱 윈드'가 끊임없이 몰아치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거센 바람을 온몸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일반적으로 칠레 최남단 도시인 푼타 아레나스에서 전용기를 타고 남극 현지 베이스캠프로 이동한 뒤 레이스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그 과정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탐험과도 같다.이처럼 혹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남극 얼음 마라톤은 전 세계 모험 마라토너들에게 '꿈의 대회'로 불린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오세아니아, 그리고 남극까지 지구의 7대륙 모두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7대륙 마라톤 클럽' 가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관문이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한 대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된 참가비용은 1인당 2만 2,5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282만 원에 달한다. 이 비용에는 남극까지의 왕복 항공편, 현지 캠프 숙박 및 식사, 전문적인 의료 및 안전 지원, 그리고 특수 장비 대여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비싼 참가비만큼이나 준비 과정 역시 까다롭기 그지없다. 극한의 추위 속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생명과 직결되므로 여러 겹의 기능성 의류를 껴입는 것은 기본이며, 눈과 얼음 위를 달리기 위한 특수 설상화와 아이젠,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한 마스크 등 전문적인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실전 레이스에서는 거센 바람과 불안정한 지면 탓에 속도를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시간 기록 단축보다는 완주 그 자체를 가장 큰 성과이자 영광으로 여긴다. 엄청난 비용과 상상을 초월하는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탓에, 이 꿈의 무대에 서는 일반인 참가자의 수는 매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