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쉬 마려워?"…인간만 몰랐던 침팬지의 은밀한 신호

 사람들 사이에서 누군가 하품을 하면 주변 사람들도 따라 하품을 하는 것처럼, 소변도 전염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현상이 인간뿐 아니라 침팬지에게서도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일본 교토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침팬지에게도 '전염성 배뇨' 현상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보고했다. 전염성 배뇨는 특정 개체의 배뇨 행동이 주변 개체들의  배뇨 행동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은 일본 구마모토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침팬지 20마리를 대상으로 604시간 동안 관찰하며 1328건의 배뇨 행동을 기록했다. 분석 결과, 침팬지들은 예상보다 훨씬 동시다발적으로 소변을 보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다른 침팬지와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을수록, 그리고 그 침팬지의 서열이 높을수록 따라서 소변을 볼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무리 내에서 서열이 낮은 침팬지는 우두머리 침팬지의 행동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따라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전염성 배뇨' 현상은 하품 전염과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사회적 친밀도와는 큰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에서 하품 전염은 친밀한 개체 사이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전염성 배뇨 현상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했다. 또한, 침팬지의 전염성 배뇨는 단순한 모습  imitation을 넘어 집단 내 응집력 강화, 사회적 유대감 형성, 정보 전달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전염성 배뇨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침팬지 이외의 다른 동물들에게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행핫클립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