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사려면 지금이 마지막 기회'... 트럼프 관세에 미국인들 패닉바잉 현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폭탄' 정책으로 애플 아이폰 가격이 30~40% 급등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미국 전역의 애플 스토어에는 구매 열풍이 불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이 8일(현지 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내 애플 매장들은 관세 인상 전에 아이폰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애플 매장 직원은 "매장이 '패닉 바잉'(불안감에 의한 사재기) 현상으로 인해 고객들로 넘쳐나고 있으며, 거의 모든 고객이 가격 인상 가능성에 대해 문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UBS 애널리스트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애플이 미국 시장에서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가격을 최대 350달러(약 51만원) 인상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가격 대비 30~40% 상승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애플은 생산 지역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아이폰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관세 정책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는데, 중국에 대해서는 다른 국가보다 높은 34%의 관세율을 책정했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중국에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이에 대응해 중국이 미국과 동일한 34%의 '맞불 관세'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이를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렇게 되면 기존 54%에 추가 50%가 더해져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총 104%의 관세가 부과된다.

 

애플은 이러한 관세 폭풍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26%)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 시장에 더 많이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단기간에 생산 기지를 완전히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관세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애플의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여행핫클립

뉴진스 멤버가 뛰러 갔다는 '이 마라톤', 참가비만 3300만원?

tic Ice Marathon)'이다. 평소 마라톤을 취미로 알려진 해당 멤버가 다음 달 열리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남극으로 향한 것이 아니냐는 팬들의 추측이 제기되면서, 일반인에게는 생소했던 극한의 레이스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마라톤은 매년 12월, 남반구의 겨울에 해당하는 시기에 남극 대륙의 유니언 글레이셔 인근에서 펼쳐지는 42.195km 풀코스 경주로, 지구상에서 가장 특별하고 혹독한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남극 얼음 마라톤은 일반적인 도시 마라톤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극한의 환경에서 진행된다. 평균 체감온도는 영하 20도를 밑돌고, 발은 푹푹 빠지는 설상과 미끄러운 얼음 위를 달려야 한다. 여기에 더해 남극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부는 차갑고 강력한 활강풍, 이른바 '카타바틱 윈드'가 끊임없이 몰아치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거센 바람을 온몸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일반적으로 칠레 최남단 도시인 푼타 아레나스에서 전용기를 타고 남극 현지 베이스캠프로 이동한 뒤 레이스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그 과정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탐험과도 같다.이처럼 혹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남극 얼음 마라톤은 전 세계 모험 마라토너들에게 '꿈의 대회'로 불린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오세아니아, 그리고 남극까지 지구의 7대륙 모두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7대륙 마라톤 클럽' 가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관문이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한 대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된 참가비용은 1인당 2만 2,5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282만 원에 달한다. 이 비용에는 남극까지의 왕복 항공편, 현지 캠프 숙박 및 식사, 전문적인 의료 및 안전 지원, 그리고 특수 장비 대여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비싼 참가비만큼이나 준비 과정 역시 까다롭기 그지없다. 극한의 추위 속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생명과 직결되므로 여러 겹의 기능성 의류를 껴입는 것은 기본이며, 눈과 얼음 위를 달리기 위한 특수 설상화와 아이젠,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한 마스크 등 전문적인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실전 레이스에서는 거센 바람과 불안정한 지면 탓에 속도를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시간 기록 단축보다는 완주 그 자체를 가장 큰 성과이자 영광으로 여긴다. 엄청난 비용과 상상을 초월하는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탓에, 이 꿈의 무대에 서는 일반인 참가자의 수는 매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