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패스트푸드점을 찾은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최근 KFC를 처음 맛보는 30명의 아이들의 특별한 이야기가 화제가 되고 있다.말레이시아의 한 초등학교 교사인 파히다(파히다)는 30명의 학생을 KFC에 데려가 치킨을 사주는 영상을 SNS에 올렸다. 

 

그녀는 'KFC 생전 처음'이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많은 사람들이 먹는 사소한 음식이 누군가에게는 희망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파히다가 30명의 학생들을 KFC에 데려간 이야기는 선생님이 평소에 학습에 관심이 없는 아이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숙제를 마치면 치킨 쏘겠다고 약속했다는 것이다. 그러자 아이들은 모두 숙제를 했고, "무엇을 먹고 싶으세요?"라는 질문에 90%가 "KFC 음식을 먹어보고 싶다"고 답했다.

 

아이들에게 KFC를 고집하는 이유를 묻자 98%가 "KFC나 프라이드 치킨을 먹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대답이 선생님을 감동시켰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가난한 가정의 아이들이였다. 아버지가 돌아간 가정, 이혼가정, 고아와 같은 평범한 아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상생활의 즐거움이 열악하다.

 

파히다 씨는 30명의 아이들과 함께 KFC 매장을 방문했다. 하지만 가게 측은 아이들이 너무 많다며 입장을 거부했다.

 

파히다는 아이들의 높은 기대를 깰 수 없었고 가게에 끈질기게 들어갈 수 있도록 가게의 허락을 구했다.

 

KFC 매장에 들어서자마자 어떤 아이들은 기뻐서 뛰었다.

 

파히다는 말했다 "가장 슬펐던 장면은 아이들이 펌프 시럽 병을 누르고 케첩이 나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와우'를 외쳤을 때였다.

 

일부 어린이들은 "음식을 조금 남겨두고 집에 가져가서 가족들에게 주고 싶다"고 말했다. 가족들과 좋은 음식을 나누고 싶어하는 아이들의 욕구를 알기에 파히다는 가장 큰 콤보 세트를 주문했다.

 

그러나 그녀의 행동이 알려지자 엇갈린 평가가 나왔다.

 

일부 네티즌들은 "선생님 덕분에 아이들의 작은 소원이 이루어졌다"는 글을 올렸고, 일부 네티즌들은 "전염병 속에서 단체 식사를 하러 식당에 가는 게 말이 되나"라고 비판했다.

 

그래도 파히다는 "보통 사람에게는 사소해 보일지 모르지만 아이들에게는 어려운 꿈이고 그들의 작은 꿈을 이루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여행핫클립

"한 끼 식사에 20개국이 반했다"…외교 무대 뒤집어 놓은 'K-김치'의 위력

다, 뉴질랜드, 일본, 동남아와 중동 주요국 등 20여 개국 주한 대사들을 초청한 '김치의 날 외교 오찬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한국의 대표 음식인 김치를 소개하는 자리를 넘어, 김치를 매개로 국가 간 문화적 이해를 높이고 민간 차원의 외교적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깊은 의미를 지닌다. 참석한 외교관들은 환영사와 함께 김치의 다채로운 종류와 유구한 역사에 대한 강연을 들으며, 단순한 음식을 넘어 한국인의 정서와 지혜가 담긴 문화유산으로서의 김치를 먼저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본격적인 오찬은 '각국의 음식과 조화를 이루는 김치'라는 주제 아래, 김치의 무한한 변신 가능성을 보여주는 창의적인 코스 요리로 채워졌다. 멕시코의 대표 음식 타코에 아삭한 배추김치를 더해 식감과 풍미를 살리고, 부드러운 타락죽에는 숙성된 깍두기를 넣어 깊은 맛의 균형을 맞췄다. 또한, 이탈리아의 버섯 리조토에 백김치와 불고기를 조합하는 등 동서양을 넘나드는 과감하고도 조화로운 시도는 참석한 외교관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모든 요리에는 롯데호텔이 자부심을 갖고 생산하는 자체 김치가 사용되었으며, 각 메뉴가 나올 때마다 해당 김치의 특성과 요리의 배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곁들여져 단순한 식사를 넘어 미식과 학습이 결합된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이론과 시식으로 김치와 친숙해진 분위기는 참석자들이 직접 소매를 걷어붙이고 김장 체험에 나서면서 절정으로 치달았다. 호텔 전문 조리사의 지도 아래, 각국 대사들은 진지한 표정으로 준비된 배추 속을 양념으로 채워 넣으며 한국의 독특한 공동체 문화인 '김장'을 직접 체험했다. 서툰 솜씨지만 서로의 결과물을 보며 웃음꽃을 피우는 모습은, 음식이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허무는 가장 강력한 외교 도구임을 증명하는 순간이었다. 가장 맛깔스러운 김치를 담근 1등 팀에게는 조리사 모자와 함께, 과거 APEC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 만찬주로 선정되어 화제를 모았던 프리미엄 막걸리 '은하수 별 헤는밤'이 수여되어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행사가 끝난 뒤 모든 참석자에게는 롯데호텔의 맛김치, 깍두기, 백김치 3종 세트가 기념품으로 증정되어, 각국 대사관에서도 한국의 맛을 이어갈 수 있도록 배려했다. 롯데호텔앤리조트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음식이 국가 간 소통과 우호 증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한국 식문화의 우수성과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다채로운 교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기획할 것이라는 포부를 전했다. 단순한 기업의 홍보 행사를 넘어, 민간 외교의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한 이번 오찬은 K-푸드의 위상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