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복지를 '연계'한 일본 농장의 사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농촌이 쇠퇴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한 농장 대표가 이에 대한 방안을 강구했다. 

 

일본 시즈오카현의 쿄마루엔 농장의 13대 대표인 스즈키 아츠시는 누구나 와서 일할 수 있는 농장을 만들 생각을 하고 연령과 장애에 관계없이 누구나 일하는 농업 환경을 뜻하는 '유니버설 농업'을 농장에 적용했다. 

 

쿄마루엔 농장은 1997년을 시작으로 장애인 직원을 고용하여 전체 직원의 4분의 1이 장애인이다. 장애인을 고용한 후로 작은 농장은 점점 성장해 연 매출 6억엔(한화 약 53억 4000만원)을 달성했다.

 

스즈키 대표는 처음 장애인을 고용할 당시의 일화를 회상했다. 장애인의 어머니가 찾아와 자녀에게 일을 하게 해달라고 부탁한 것이다. 급여도 받지 않겠다는 것에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는데, 우선적으로 실습의 개념으로 받아주게 되었다.

 

우려와 달리 농장 분위기는 크게 달라졌다. 수작업의 비중이 큰 농업은 즐겁게 일하는 환경과 분위기일수록 능률이 커지는데, 장애인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 직원들이 합심하자 협동력이 향상되고 회사가 발전한 것이다. 그제야 대표는 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이 되길 바라는 어머니의 마음을 이해했고, 장애인의 특성을 농업에 적용해 활용하는 방안을 더 찾아나가기 시작했다.

 

스즈키 대표는 앞으로 장애인 외에도 90대 고령자를 고용할 예정이다. 고용으로 삶의 의미와 보람을 느낄 수 있다는 의미를 깨달았기 때문으로, 중증 장애인이나 고령자도 일할 수 있는 유니버설 농업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보게 된 것이다.

 

여행핫클립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