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이제 '디지털 교과서' 쓰는데… 학생 스마트폰 금지한 '이 나라'

 프랑스 정부가 9월부터 200개 중학교에서 '등교 후 스마트폰 금지' 정책을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니콜 벨루베 교육부 장관 대행은 기자회견에서 이 정책이 학생들이 등교 후 휴대전화를 수거하고 하교 시 반환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범 시행은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될 계획이다.

 

프랑스는 이미 2018년 초·중학교 내에서 휴대전화 소지는 허용하지만 사용은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켰으나, 실질적으로 강제성이 부족해 정책이 잘 지켜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교육 당국은 물리적으로 휴대전화 사용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프랑스 매체들은 이 조치를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지역 교육 당국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르 피가로'는 예산 지원과 학교 측의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정책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설립한 '스크린 사용 전문가 위원회'의 권고안에 따른 것으로, 보고서에서는 디지털 기기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강조했다. 위원회는 11세 이전에는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11~13세에게는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기기를 제공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미성년자의 휴대전화 사용 문제는 다른 선진국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미국 LA는 2025년부터 공립 초·중학교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으며, 독일은 공립 학교에서 교육 외 목적으로 휴대전화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수업 시간 중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지침을 발표했지만, 시행 여부는 각 학교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

 

여행핫클립

내장산 갔다가 여기 안 들르면 '헛걸음'…단풍 감상 백미로 꼽히는 명소 3

를 것으로 보여, 전국 각지에서 가을의 절정을 만끽하려는 이들의 발걸음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장산은 매년 가을마다 깊고 그윽한 빛깔의 단풍으로 독보적인 풍광을 자랑하며, 수려한 자연경관과 오랜 역사, 문화적 가치가 어우러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을 여행지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왔다.내장산 단풍이 이토록 특별한 찬사를 받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바로 이곳이 국내에 자생하는 단풍나무 11종이 함께 서식하는 유일무이한 '단풍나무의 보고(寶庫)'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풍나무는 잎의 갈래 수나 모양으로 종류를 구분하는데, 내장산에는 잎이 9~10갈래로 갈라지는 당단풍부터 좁은단풍, 털참단풍, 복자기, 그리고 수액으로 유명한 고로쇠나무와 왕고로쇠, 신나무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단풍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나무들이 저마다의 붉은색을 뽐내며 빚어내는 색의 향연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흉내 낼 수 없는 깊이와 화려함을 자아낸다.특히 내장산 단풍은 잎의 크기가 아기 손처럼 작고 고우며, 유독 선명하고 진한 붉은빛을 띠어 '애기단풍'이라는 사랑스러운 별칭으로 불린다. 여리고 섬세한 잎들이 빽빽하게 모여 만들어내는 짙은 붉은색의 물결은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내며, 내장산 단풍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작은 잎들이 모여 산 전체를 거대한 붉은 융단처럼 뒤덮는 장관은 오직 내장산에서만 허락된 가을의 선물이다.이 황홀한 단풍을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명소들도 곳곳에 자리한다. 그중에서도 백미는 단연 일주문에서 내장사로 이어지는 108그루의 단풍나무가 만들어내는 '단풍 터널'이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붉게 타오르는 단풍잎 아래를 걷다 보면 마치 다른 세상에 들어선 듯한 황홀경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정자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날아갔다는 전설이 깃든 우화정은 연못에 비친 단풍과 어우러져 한 폭의 수채화 같은 풍경을 연출하며, 케이블카를 타고 정상 부근에 오르면 발아래로 펼쳐지는 산 전체의 붉은 파노라마를 조망하는 특별한 경험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