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전역하는 '말년 병장' 외딴 숙소서 17일 지내다 '원인미상' 죽음

 전역을 얼마 남기지 않은 20대 병장이 군대 내에서 '나홀로 생활' 징계를 받던 중 17일 만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일 국방부는 지난해 11월 11일 국방정보본부 예하 부대에서 병장 A씨가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A씨는 징계의 일환으로 다른 병사들과 격리되어 2022년 10월 26일부터 외딴 숙소에서 혼자 생활했다. 해당 숙소는 부대 막사에서 약 1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건물로, 코로나19 시기 임시 숙소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군 관계자는 A씨가 전출 조치 없이 분리된 이유에 대해 "전역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본인 의사를 고려해 격리 조치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A씨는 다른 병사들과 격리된 상태로 외로움과 추위를 호소하며 힘든 시간을 보냈다. 그는 식사를 혼자 해결해야 했으며, 사망 전날 저녁에는 다른 병사에게 외로움과 추위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사망은 부대의 관리 소홀 문제를 드러냈다. A씨는 사망 당일 오후 1시 50분경에 이불을 뒤집어쓴 상태로 발견되었다. 당시 아침 점호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망은 오후가 되어서야 확인되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결과 A씨의 사망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청장년층에서 별다른 병력 없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청장년급사증후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군사경찰은 범죄와의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해 사건을 민간 경찰에 이첩하지 않았으며, 현재 사건은 군 검찰에서 수사 중이다. 

 

여행핫클립

"딸기 뷔페 한 번에 30만 원?"… 역대급 가격 인상에 '헉'

름이 깊어지고 있다. 주요 호텔들이 일제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이제 딸기 뷔페는 '큰맘 먹고' 즐겨야 하는 특별한 경험이 되어버렸다. 특히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은 성인 1인 가격을 지난해 10만 5천 원에서 13만 5천 원으로 무려 28.6%나 인상하며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선, 호텔가의 고급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11.1% 인상된 15만 원의 가격표를 내걸었고, 서울드래곤시티 인스타일도 11만 원으로 가격을 올리며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이러한 가격 인상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호텔 업계는 원재료 및 운영 비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특히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디저트 재료의 수급 비용이 증가했고, 인건비 부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단순히 비용 증가만으로 이번 가격 인상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호텔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화를 꾀하려는 프리미엄 전략 역시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중요한 요인이다. 희귀 품종의 딸기를 공수해오거나, 유명 쇼콜라티에와의 협업을 통해 독점적인 메뉴를 선보이는 등, '더 비싸고, 더 특별하게'를 외치는 호텔가의 경쟁은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일부는 "1년에 한 번뿐인 사치"라며 기꺼이 지갑을 열지만, 대다수는 "해도 너무한다"는 불만을 토로한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는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반얀트리 호텔의 경우 어린이 요금을 14.2% 인상한 8만 원으로 책정했고,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6만 5천 원에서 8만 원으로 어린이 요금을 조정했다. 성인 2인에 어린이 1인 가족이 딸기 뷔페를 즐기기 위해서는 30만 원이 훌쩍 넘는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셈이다. 이렇다 보니 "그 돈이면 차라리 다른 것을 하겠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SNS에서는 '딸기 뷔페 대신 즐길 수 있는 가성비 디저트 맛집' 리스트가 공유되는 등, 소비자들은 나름의 대안을 찾아 나서고 있다.결국 호텔 딸기 뷔페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약이 어렵다는 점에서, 호텔가의 프리미엄 전략은 일단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장기적으로도 유효할지는 미지수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점점 얇아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고가 정책이 계속된다면, '대중적인 겨울철 별미'였던 딸기 뷔페는 소수만을 위한 사치품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올해 딸기 뷔페 시즌은 대부분 12월 말부터 내년 3월까지 이어진다. 과연 얼마나 많은 소비자들이 호텔 딸기 뷔페의 높은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