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피서철 부산 해수욕장, 결산 보고

 부산내 해수욕장의 2024년 피서철 이용객 수가 작년 대비 9% 증가했다. 이는 역대급 폭염으로 바다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늘어난 결과로, 특히 기장 지역 해수욕장의 인기가 두드러졌다. 부산시의 통계에 따르면, 7개 해수욕장 이용객 수는 1700만 명에 달하며, 이는 2023년 같은 기간의 1565만 명보다 8.6% 증가한 수치다.

 

2024년 해수욕장 이용객 수 증가는 날씨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2023년에는 기록적인 강수량으로 야외 활동이 제한되었으나, 2024년은 폭염과 태풍이 없어서 많은 사람이 바다를 찾았다. 부산의 장마철 강수량은 평년 수준에 그쳤고, 폭염 일수는 14일로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이용객 수는 해운대해수욕장이 765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광안리(410만 명), 송도(253만 명), 송정(159만 명), 다대포(111만 명) 순이었다. 해운대의 방문객 수는 전년 대비 11% 증가했지만, 광안리는 1.7% 증가에 그쳐 해운대를 따라잡지 못했다.

 

기장군의 일광해수욕장은 24%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임랑해수욕장도 22% 증가했다. 이는 오시리아 관광단지와 대형 호텔의 개장 덕분으로 분석된다. 기장군은 2019년 3571만 명에서 2023년 4176만 명으로 방문객이 증가했다.

 

하지만 해파리 개체 수의 급증은 해수욕장에 큰 피해를 주었다.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해파리 쏘임 관련 구급활동이 753건으로 2023년보다 약 3배 증가했으며, 포획된 해파리 수는 1965마리로 18배 늘어났다. 각 지자체는 해파리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상황이다.

 

여행핫클립

아직 10년이나 남았는데? 2034년 올림픽 개최지, 벌써부터 한국 여행사에 '선물' 뿌리는 중

역대 가장 성공적인 대회 중 하나로 치러낸 경험이 있다. 당시 짜임새 있는 관광 홍보 전략과 인프라 구축,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모범적인 올림픽 모델을 제시했으며, 이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이 벤치마킹하기도 했다. 하지만 올림픽 유산 활용 측면에서 평창이 아쉬운 평가를 받은 것과 대조적으로, 유타는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꾸준히 언급되고 있어 10년 뒤 열릴 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올림픽 개최까지 아직 10년 가까운 시간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유타주 관광청은 벌써부터 발 빠르게 움직이며 관광객 유치를 위한 선제적인 준비에 나섰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한국 시장을 겨냥한 적극적인 행보다. 이들은 기존에 제공해오던 일반 관광객 대상의 디지털 한국어 서비스를 넘어, 국내 여행업계 파트너들을 위한 전문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인 ‘유타 스페셜리스트 아카데미’의 한국어 서비스를 오는 24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2034년 동계올림픽의 관광 효과를 극대화하고, 한국 시장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포석으로 풀이된다.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유타 스페셜리스트 아카데미’는 기존의 텍스트와 복잡한 문항 위주의 지루한 교육 방식에서 탈피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미지와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게 유타주의 매력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교육 내용은 유타 전역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와 체험 활동, 광활한 자연경관과 야외 액티비티 등을 포괄적으로 소개하며, 유타 현지 전문가들이 직접 추천하는 여행 코스와 숨겨진 명소 등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깊이 있는 정보까지 제공한다.유타관광청 한국사무소의 최지훈 이사는 “유타 지역 전문가 양성을 위한 효율적인 학습 자료와 정보 제공이 중요한 시점에 이번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한국어로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국내 여행업계 파트너들이 이번 기회를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유타 여행 전문가에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유타관광청은 프로그램 이수자 전원에게 ‘유타 스페셜리스트’ 공식 인증서를 발급하며, 오는 11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인증서를 취득한 선착순 100명에게 1만 원권 스타벅스 기프트콘을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