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인지 놈편인지…' 스트레스 받은 아내, 생리 불순 발생한다!

 남편의 육아 참여에 대한 불만이 있는 여성은 출산 후 생리 시작이 지연될 위험이 두 배 가까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본 신슈대 의과대학의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762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출산 후 생리 재개 날짜와 여러 요인을 조사했다. 평균적으로 출산 후 생리가 다시 시작되는 기간은 42주였으며, 연구진은 이를 정상 그룹(72주 이내)과 지연 그룹(72주 이후)으로 나누었다.

 

조사 결과, 정상 그룹은 701명(92%)이었고, 지연 그룹은 61명(8%)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남편의 육아 참여도, 부부간 대화 여부, 아내의 외부 집안일 수행 가능 인원수, 남편의 외출 빈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편의 육아 참여에 불만이 있는 여성은 만족하는 여성에 비해 출산 후 생리가 시작되는 시기가 72주 이후로 늦어질 확률이 약 두 배 높았다.

 

출산 후 생리 재개 주 수는 신생아의 성별, 출생체중, 아프가 점수 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남편의 육아 참여 부족이 산모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는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난포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배란이 지연되며 생리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연구진은 남편의 육아 불참으로 인한 어머니의 심리적 위축이 산후 생리 지연과 관련이 있음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장기간의 무월경은 이차성 불임의 증상일 수 있으며, 이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족계획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행핫클립

111대 1 경쟁 뚫은 올해 최고의 '섬 여행' 영상, 수준 보니 '입이 쩍'

11회째를 맞은 이 공모전은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섬들의 숨겨진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섬 관광을 활성화하여 연안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마련된 여행자들의 축제다. 올해는 총 111편에 달하는 다채로운 작품들이 접수되어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경쟁을 벌였으며, 관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엄정한 평가를 거쳐 대상 1편을 포함한 총 10편의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단순한 풍경 스케치를 넘어, 여행자 각자의 개성 넘치는 시선과 이야기가 담긴 영상들은 국내 섬 여행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이다.올해 최고의 영예인 대상은 황상운 씨의 '남해로 떠나요'에게 돌아갔다. 이 작품은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는 통영의 보석 같은 섬, 소매물도와 비진도, 사량도를 배경으로 한다. 수상작은 드론을 활용한 역동적인 구도와 감각적인 편집을 통해 섬들이 품고 있는 수려한 자연경관을 스크린 가득 펼쳐냈다. 에메랄드빛 바다를 가로지르는 배의 시원한 물살부터, 등대섬으로 향하는 신비로운 바닷길,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둘러싼 웅장한 산세까지, 섬의 아름다움을 있는 그대로 담아낸 압도적인 영상미가 심사위원들의 극찬을 이끌어냈다. 특히 마치 관객이 직접 배를 타고 섬 곳곳을 누비는 듯한 생생한 현장감은 '지금 당장 떠나고 싶다'는 충동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대상작이 남해의 역동적이고 화려한 풍광을 담아냈다면, 최우수상을 수상한 조형주 씨의 '필름으로 담은 슬로시티, 증도'는 전혀 다른 매력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 영상은 바쁜 도시의 삶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온전한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으로서 섬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필름 카메라로 촬영한 듯한 따뜻하고 아날로그적인 영상미를 통해 '슬로시티'로 지정된 신안군 증도의 고즈넉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섬세하게 그려냈다. 이 외에도 섬마을의 정겨운 풍경을 담은 작품, 섬에서만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체험을 소개한 작품 등이 우수상과 특별상, 입선작으로 선정되어 우리 섬들이 가진 무궁무진한 매력의 스펙트럼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이번 공모전은 단순히 우수한 영상 콘텐츠를 시상하는 것을 넘어, 국민들이 직접 발굴하고 제작한 생생한 이야기가 섬 관광의 가장 강력한 홍보대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심상철 해양수산부 연안해운과장이 "국민이 직접 담아낸 섬에서의 소중한 순간들이 섬 관광의 매력을 알리고 나아가 연안해운업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작은 씨앗이 되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듯, 수상작들은 앞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더 많은 사람에게 섬 여행의 즐거움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주말여행을 계획하는 이들에게는 새로운 목적지를, 지친 일상에 쉼표가 필요한 이들에게는 위로를 건네며, 이 작은 영상들이 우리 바다와 섬에 큰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