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인지 놈편인지…' 스트레스 받은 아내, 생리 불순 발생한다!

 남편의 육아 참여에 대한 불만이 있는 여성은 출산 후 생리 시작이 지연될 위험이 두 배 가까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본 신슈대 의과대학의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762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출산 후 생리 재개 날짜와 여러 요인을 조사했다. 평균적으로 출산 후 생리가 다시 시작되는 기간은 42주였으며, 연구진은 이를 정상 그룹(72주 이내)과 지연 그룹(72주 이후)으로 나누었다.

 

조사 결과, 정상 그룹은 701명(92%)이었고, 지연 그룹은 61명(8%)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남편의 육아 참여도, 부부간 대화 여부, 아내의 외부 집안일 수행 가능 인원수, 남편의 외출 빈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편의 육아 참여에 불만이 있는 여성은 만족하는 여성에 비해 출산 후 생리가 시작되는 시기가 72주 이후로 늦어질 확률이 약 두 배 높았다.

 

출산 후 생리 재개 주 수는 신생아의 성별, 출생체중, 아프가 점수 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남편의 육아 참여 부족이 산모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는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난포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배란이 지연되며 생리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연구진은 남편의 육아 불참으로 인한 어머니의 심리적 위축이 산후 생리 지연과 관련이 있음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장기간의 무월경은 이차성 불임의 증상일 수 있으며, 이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족계획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여행핫클립

내장산 갔다가 여기 안 들르면 '헛걸음'…단풍 감상 백미로 꼽히는 명소 3

를 것으로 보여, 전국 각지에서 가을의 절정을 만끽하려는 이들의 발걸음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장산은 매년 가을마다 깊고 그윽한 빛깔의 단풍으로 독보적인 풍광을 자랑하며, 수려한 자연경관과 오랜 역사, 문화적 가치가 어우러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을 여행지로 굳건히 자리매김해왔다.내장산 단풍이 이토록 특별한 찬사를 받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바로 이곳이 국내에 자생하는 단풍나무 11종이 함께 서식하는 유일무이한 '단풍나무의 보고(寶庫)'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풍나무는 잎의 갈래 수나 모양으로 종류를 구분하는데, 내장산에는 잎이 9~10갈래로 갈라지는 당단풍부터 좁은단풍, 털참단풍, 복자기, 그리고 수액으로 유명한 고로쇠나무와 왕고로쇠, 신나무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단풍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나무들이 저마다의 붉은색을 뽐내며 빚어내는 색의 향연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흉내 낼 수 없는 깊이와 화려함을 자아낸다.특히 내장산 단풍은 잎의 크기가 아기 손처럼 작고 고우며, 유독 선명하고 진한 붉은빛을 띠어 '애기단풍'이라는 사랑스러운 별칭으로 불린다. 여리고 섬세한 잎들이 빽빽하게 모여 만들어내는 짙은 붉은색의 물결은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내며, 내장산 단풍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게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작은 잎들이 모여 산 전체를 거대한 붉은 융단처럼 뒤덮는 장관은 오직 내장산에서만 허락된 가을의 선물이다.이 황홀한 단풍을 제대로 즐기기 위한 명소들도 곳곳에 자리한다. 그중에서도 백미는 단연 일주문에서 내장사로 이어지는 108그루의 단풍나무가 만들어내는 '단풍 터널'이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붉게 타오르는 단풍잎 아래를 걷다 보면 마치 다른 세상에 들어선 듯한 황홀경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정자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날아갔다는 전설이 깃든 우화정은 연못에 비친 단풍과 어우러져 한 폭의 수채화 같은 풍경을 연출하며, 케이블카를 타고 정상 부근에 오르면 발아래로 펼쳐지는 산 전체의 붉은 파노라마를 조망하는 특별한 경험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