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미술계의 '큰폭풍' 온다.."반 고흐, 폴록, 백남준 한 자리에"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화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작품이 올해 연말 울산을 방문한다. 울산시립미술관은 2024년 주요 전시 일정을 공개하며 관객들을 맞을 준비를 마쳤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가장 주목받는 전시는 11월에 개최될 '20세기 서양미술의 거장전: 뉴욕 신홍규 컬렉션'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울산 출신의 미술품 컬렉터 신홍규가 소장한 반 고흐, 잭슨 폴록 등 세계적인 화가들의 원작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20세기 서양미술의 거장전'은 신홍규 컬렉션의 일부를 선보이는 전시로, 반 고흐를 비롯해 잭슨 폴록, 프란시스 베이컨 등 유명 화가들의 작품 80~100점이 전시될 예정이다. 이 전시는 울산시립미술관 개관 4년 차를 맞아 중요한 전시로 자리매김하며, 많은 미술 애호가들의 기대를 모은다. 특히 반 고흐의 원작을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는 그 어느 때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울산시립미술관은 올해도 다양한 전시를 통해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3월에는 한국과 중국의 수묵화, 서예, 유화, 설치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 '한·중 미술 특별전: 휴휴(休休)마당'이 열린다. 이 전시에서는 중국의 통중타오, 왕동링, 한국의 유희강, 박대성 등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다.

 

또한, 울산시립미술관은 현대 미술과 매체예술을 주제로 한 전시도 계속해서 선보인다. 5월에는 거리 낙서를 현대 미술로 발전시킨 존원(JONEONE)의 작품을, 8월에는 실험 예술가 빌스(Vhils)의 작품을 전시한다. 7월에는 '동시대미술 기획전: 2000년 이후 현대미술의 진화'가 개최되며, 울산시립미술관의 현대미술 소장품과 실험적인 국내외 회화, 영상, 설치 작품들이 대거 출품된다.

 

 

올해 11월에는 한국의 세계적 예술가 백남준을 조망하는 '소장품 기획전: 백남준 메모리얼(가제)'이 예정되어 있다. 백남준의 미학인 자연과 기술, 동양 정신과 서양 문물의 결합을 엿볼 수 있는 이번 전시에서는 울산시립미술관의 소장품인 백남준의 작품인 '거북'도 출품된다.

 

어린이 전시도 올해 큰 비중을 차지한다. 3월부터 9월까지는 곽인탄 작가의 '모양과 모양'이 열리며, 놀이터라는 설레는 기억을 소환하여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10월부터는 '움직이는 그림의 세계'를 주제로 한 어린이 체험전시가 펼쳐진다. 또한, 4월에는 소리를 시각화한 실감 영상 전시인 '소리를 시각화한 실감영상전'이 시작되며,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예술을 관객들에게 선보인다.

 

매체예술을 다룬 엑스알(XR)랩 전시도 올해 주목받을 만한 전시 중 하나다. 4월에는 '소리를 시각화한 실감영상전'이 첫 문을 열고, 8월에는 '암각화와 반구천의 사계'가 디지털 기법으로 구현되어 반구천의 자연경관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 엑스알(XR)랩 전시는 청각과 시각을 결합한 새로운 실험 예술을 통해 관객의 오감을 자극할 예정이다.

 

울산시립미술관은 개관 4년 차를 맞아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며 시민들에게 문화적 중심지로 자리잡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미술관 관계자는 "올해는 개관 이래 가장 많은 대형 전시가 펼쳐져 관객에게 다채로운 전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라며 "울산시립미술관이 시민들의 문화적 삶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울산시립미술관은 올해도 풍성한 전시 라인업을 통해 관객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반 고흐와 잭슨 폴록의 작품을 직접 감상할 수 있는 기회는 미술 애호가들에게 큰 관심을 끌 것이다. 다양한 기획전과 현대미술의 흐름을 엿볼 수 있는 전시들이 계속해서 울산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으로 기대된다.

 

 

 

여행핫클립

4050, 교복 입고 설악산 수학여행 떠나는 기막힌 이유

1월 한 달간, 장기 침체에 빠진 설악동 관광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025 설악동 활성화 프로그램-추억감성여행'을 총 4회에 걸쳐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관광 상품을 넘어,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감성과 설악산의 수려한 자연 및 속초 고유의 지역 자원을 결합한 1박 2일 체류형 체험 콘텐츠다. 한 팀당 약 15명, 총 60명 규모로 진행되는 이 실험적인 여행이 과연 설악동의 부활을 이끄는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이번 '추억감성여행'의 핵심 콘셉트는 바로 '다시 떠나는 수학여행'이다. 참가자들은 빛바랜 사진 속에서나 볼 법한 옛 교복을 맞춰 입고, 마치 학창 시절로 돌아간 듯한 설렘을 안고 1박 2일의 여정을 시작한다. 여행의 동선은 속초와 설악동의 매력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짜였다. 실향민의 애환이 서린 아바이마을을 전문 해설사와 함께 둘러보고, 직접 함경도식 만두를 빚으며 그들의 문화를 체험한다. 이어서 설악산의 백미로 꼽히는 케이블카에 탑승해 울긋불긋한 단풍과 어우러진 권금성의 절경을 감상하고, 활기 넘치는 속초관광수산시장을 방문해 동해의 싱싱한 먹거리를 맛본다. 이튿날에는 고즈넉한 사찰에서 불교 문화를 체험하고, 만추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설악산 단풍길을 트레킹하며 여행의 대미를 장식한다.속초시가 이처럼 '추억'을 전면에 내세운 데에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특정 세대만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년층과 젊은 세대를 모두 아우르는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다. 교복을 입고 떠나는 수학여행이라는 콘셉트는 40~60대 중장년층에게는 아련한 향수와 함께 젊은 날의 추억을 소환하는 감동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동시에, 옛것에서 새로움과 재미를 찾는 '뉴트로(New-tro)' 트렌드에 열광하는 20~30대 젊은 세대에게는 독특하고 이색적인 체험형 콘텐츠로 매력을 어필한다. 이처럼 세대를 초월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추억감성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나아가 이번 프로그램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상권 활성화라는 실질적인 목표를 품고 있다. 참가자들의 숙박을 설악동 내 숙박 단지와 직접 연계하고, 식사 및 체험 활동을 지역 업체들과 함께 진행함으로써 관광객의 소비가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설계했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11월의 속초는 가을 여행의 최적기"라며, "이번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기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과연 수십 년의 추억을 소환하는 이번 감성 여행이 깊은 침체의 늪에 빠진 설악동에 새로운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