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비어천가' 다음은 '충성가' 군무..尹 생일 축하쇼? 군인 동원 논란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첫 생일을 맞았던 2022년 12월, 대통령 경호처 창설 기념행사가 사실상 윤 대통령 생일파티처럼 치러졌다는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특히 이 행사에 국군 장병들이 동원돼 윤 대통령 부부 앞에서 장기자랑을 하고,  '충성가'의 '조국'이라는 가사까지 '자유 대한'으로 바꿔 불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20일 SBS는 당시 행사 영상을 단독 공개하며 충격적인 장면들을 고스란히 보도했다. 영상 속에서 군 장병들은 '홀로 아리랑', 군가 '전선을 간다' 등의 노래는 물론 '충성가'까지 합창하며 군무까지 선보였다. 

 

특히 '충성가'의 경우,  '조국'이라는 가사를 '자유 대한'으로 바꿔 부른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치적 논란까지 더해졌다. 공연이 끝난 후 장병들은 윤 대통령 부부에게 "대통령 내외분께 대하여 경례"라는 구호와 함께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우렁차게 외치며 거수경례를 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동원된 장병들은 대통령 관저 외곽 경호를 담당하는 55경비단 소속으로, 이들 외에도 경찰 경호부대까지 동원된 것으로 전해졌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들이 윤 대통령의 생일 축하 행사를 위해 최소 2개월 전부터 야간 시간을 쪼개 별도의 연습까지 강요받았다는 점이다. 

 

당시 기획관리실장이었던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합창할 땐 목소리를 화창하게 해달라"는 등 구체적인 지시까지 내렸다는 내부 폭로까지 나온 상황이다.

 

앞서 김 차장은 '경호처 직원들이 윤 대통령 생일 축하 노래를 만들어 불렀다'는 일명 '윤비어천가' 의혹에 대해 "친구 생일에 축하 노래 안 부르나"라며 사적 영역의 일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장병 위문공연' 논란으로 윤 대통령과 김 차장이 공적 자원을 사적으로 이용하고, 군인들을 동원해 사실상 '윤석열 생일 축하 공연'을 강요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호처는 "경호처와 경호부대 내부 활동은 기밀사항"이라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하지만 군 장병들을 동원해 사실상 윤 대통령 생일 축하 공연을 시킨 것은 명백한 군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이며, 군 사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여행핫클립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