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 로비에 할머니댁이 통째로?...업계 최초 '파격 시도'

 라한호텔이 의미 있는 새해맞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기업 '아립앤위립'의 브랜드 '신이어마켙'과 손잡고 '해피新(신)이어' 패키지를 선보인 것이다. 이번 협업은 단순한 비즈니스를 넘어 사회공헌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신이어마켙'은 저소득 노인들에게 새로운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는 소셜 브랜드다. 참여하는 어르신들은 자신만의 손글씨와 그림으로 작품을 만들고, 이를 다양한 상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이러한 활동은 노인들에게 경제적 도움뿐만 아니라 자존감 회복과 사회 참여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에 출시된 '해피新(신)이어' 패키지는 객실 1박과 함께 시니어들의 정성이 담긴 특별한 선물 세트를 제공한다. '25년 뭐든 해봐유' 절기달력, 클립펜, 스프링노트로 구성된 이 세트는 제작부터 포장까지 전 과정에 어르신들이 참여했다. 특히 달력에는 어르신들의 손글씨로 쓴 덕담과 그림이 담겨 있어 특별한 의미를 더한다.

 

전국의 라한호텔 지점에서는 다채로운 이벤트도 진행된다. 라한셀렉트 경주에서는 할머니댁을 연상케 하는 독특한 포토존을 마련했다. 레트로한 꽃무늬 벽지와 클래식한 가구들로 꾸며진 이 공간은 방문객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벽면 가득 붙은 새해 덕담들이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설 연휴 기간에는 '신이어 상담소'라는 특별한 이벤트도 운영된다. 자판기 형태로 제작된 이 상담소에서는 고민을 적어 넣으면 할머니의 따뜻한 조언을 받을 수 있어, 방문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호텔 내 식음료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이벤트도 풍성하다. '행운을 뽑아봐유' 뽑기 이벤트를 통해 호텔 숙박권과 새해 기프트 등 다양한 경품의 기회가 제공되며, 주요 식음 공간에서는 '할매의 한마디' 컵홀더 2만 개가 선착순으로 증정된다.

 

SNS 이벤트도 진행된다. 호텔 곳곳에서 만나는 신이어마켙과의 협업 요소들을 촬영해 지정된 해시태그와 함께 게시하면, 호텔 숙박권과 신이어마켙의 고민 상담책 등 푸짐한 경품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라한호텔 마케팅팀의 한유미 매니저는 이번 프로젝트가 단순한 마케팅을 넘어 세대 간 소통과 노년층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강조했다. 앞으로도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다양한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행핫클립

"딸기 뷔페 한 번에 30만 원?"… 역대급 가격 인상에 '헉'

름이 깊어지고 있다. 주요 호텔들이 일제히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이제 딸기 뷔페는 '큰맘 먹고' 즐겨야 하는 특별한 경험이 되어버렸다. 특히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은 성인 1인 가격을 지난해 10만 5천 원에서 13만 5천 원으로 무려 28.6%나 인상하며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선, 호텔가의 고급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11.1% 인상된 15만 원의 가격표를 내걸었고, 서울드래곤시티 인스타일도 11만 원으로 가격을 올리며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이러한 가격 인상의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호텔 업계는 원재료 및 운영 비용 상승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특히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디저트 재료의 수급 비용이 증가했고, 인건비 부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단순히 비용 증가만으로 이번 가격 인상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호텔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차별화를 꾀하려는 프리미엄 전략 역시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중요한 요인이다. 희귀 품종의 딸기를 공수해오거나, 유명 쇼콜라티에와의 협업을 통해 독점적인 메뉴를 선보이는 등, '더 비싸고, 더 특별하게'를 외치는 호텔가의 경쟁은 소비자들의 부담으로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일부는 "1년에 한 번뿐인 사치"라며 기꺼이 지갑을 열지만, 대다수는 "해도 너무한다"는 불만을 토로한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족 단위 고객들에게는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반얀트리 호텔의 경우 어린이 요금을 14.2% 인상한 8만 원으로 책정했고, 롯데호텔 서울 페닌슐라 역시 6만 5천 원에서 8만 원으로 어린이 요금을 조정했다. 성인 2인에 어린이 1인 가족이 딸기 뷔페를 즐기기 위해서는 30만 원이 훌쩍 넘는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셈이다. 이렇다 보니 "그 돈이면 차라리 다른 것을 하겠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SNS에서는 '딸기 뷔페 대신 즐길 수 있는 가성비 디저트 맛집' 리스트가 공유되는 등, 소비자들은 나름의 대안을 찾아 나서고 있다.결국 호텔 딸기 뷔페는 '그들만의 리그'가 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약이 어렵다는 점에서, 호텔가의 프리미엄 전략은 일단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장기적으로도 유효할지는 미지수다. 경기 침체와 고물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은 점점 얇아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고가 정책이 계속된다면, '대중적인 겨울철 별미'였던 딸기 뷔페는 소수만을 위한 사치품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올해 딸기 뷔페 시즌은 대부분 12월 말부터 내년 3월까지 이어진다. 과연 얼마나 많은 소비자들이 호텔 딸기 뷔페의 높은 문턱을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