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후가 밝힌 김하성 샌프란시스코 이적 가능성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외야수 이정후(27)가 지난 13일 시즌 준비를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면서 김하성(30)과 관련된 이야기를 꺼냈다. 

 

이정후는 샌프란시스코 구단이 김하성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고 전하며, "구단에서도 물어볼 수 있다. 몸 상태 같은 것을 물어봤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정후는 "형을 데려오라고 직접 말하지는 못했다"며 김하성의 향후 행선지에 대해 간접적인 응원을 보냈다. 이어 "하성이 형이 어느 팀에 가든 좋은 대우를 받고 잘했으면 좋겠다"며, "아직 계약 소식은 없지만 좋은 팀과 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샌프란시스코는 유격수 보강을 위해 김하성을 주목해왔고, 그가 주로 뛰었던 유격수 포지션을 채울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김하성이 어깨 수술을 받으면서 그의 몸값은 예상보다 낮아졌다. 김하성은 이전에 1억 달러 이상의 계약이 예상됐지만, 부상 이후 시장에서의 가치가 반감됐다. 이에 샌프란시스코는 1억8200만 달러에 윌리 아다메스를 영입하면서 주전 유격수 문제를 해결했다. 아다메스를 영입한 샌프란시스코는 김하성과의 연결고리가 약해졌지만, 여전히 그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언론은 김하성의 다음 행선지로 샌프란시스코를 다시 주목하고 있다. MLB.com은 샌프란시스코가 김하성을 영입하면 2루수에서의 약점을 보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하성이 어깨 수술을 마친 후 건강을 회복한다면, 샌프란시스코가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 레이스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샌프란시스코의 2루수는 타일러 피츠제럴드(28)가 맡고 있지만, 그가 주전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김하성이 회복하면 피츠제럴드와 함께 2루수 자리에서 키스톤 콤비를 이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김하성의 주가는 타격보다는 수비에서 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는 샌디에이고에서 유격수와 2루수, 3루수를 모두 소화하며 메이저리그 정상급 내야수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23년에는 내셔널리그 유틸리티 부문 골드글러브를 수상하며 아시아 내야수 최초로 이 기록을 세웠다. 다만 타격은 KBO리그 시절과 비교해 다소 아쉬운 수준으로 평가된다. 김하성은 2023년 타율 0.260, 17홈런을 기록했으며, 주력에서 장점을 보였다. 도루는 2023년 38개, 2024년에는 22개를 기록하며 여전히 빠른 발을 자랑했다.

 

김하성은 2021년 시즌을 앞두고 샌디에이고와 4년 2800만 달러(약 403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메이저리그에 도전했다. 이후 주전으로 자리 잡은 그는 4시즌 동안 540경기에서 타율 0.242, 47홈런, 78도루를 기록했다. 현재 5번째 시즌을 준비 중인 김하성은 어느 팀의 유니폼을 입게 될지, 샌프란시스코가 그와의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행핫클립

뉴진스 멤버가 뛰러 갔다는 '이 마라톤', 참가비만 3300만원?

tic Ice Marathon)'이다. 평소 마라톤을 취미로 알려진 해당 멤버가 다음 달 열리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남극으로 향한 것이 아니냐는 팬들의 추측이 제기되면서, 일반인에게는 생소했던 극한의 레이스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마라톤은 매년 12월, 남반구의 겨울에 해당하는 시기에 남극 대륙의 유니언 글레이셔 인근에서 펼쳐지는 42.195km 풀코스 경주로, 지구상에서 가장 특별하고 혹독한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남극 얼음 마라톤은 일반적인 도시 마라톤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극한의 환경에서 진행된다. 평균 체감온도는 영하 20도를 밑돌고, 발은 푹푹 빠지는 설상과 미끄러운 얼음 위를 달려야 한다. 여기에 더해 남극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부는 차갑고 강력한 활강풍, 이른바 '카타바틱 윈드'가 끊임없이 몰아치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거센 바람을 온몸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일반적으로 칠레 최남단 도시인 푼타 아레나스에서 전용기를 타고 남극 현지 베이스캠프로 이동한 뒤 레이스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그 과정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탐험과도 같다.이처럼 혹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남극 얼음 마라톤은 전 세계 모험 마라토너들에게 '꿈의 대회'로 불린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오세아니아, 그리고 남극까지 지구의 7대륙 모두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7대륙 마라톤 클럽' 가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관문이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한 대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된 참가비용은 1인당 2만 2,5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282만 원에 달한다. 이 비용에는 남극까지의 왕복 항공편, 현지 캠프 숙박 및 식사, 전문적인 의료 및 안전 지원, 그리고 특수 장비 대여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비싼 참가비만큼이나 준비 과정 역시 까다롭기 그지없다. 극한의 추위 속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생명과 직결되므로 여러 겹의 기능성 의류를 껴입는 것은 기본이며, 눈과 얼음 위를 달리기 위한 특수 설상화와 아이젠,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한 마스크 등 전문적인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실전 레이스에서는 거센 바람과 불안정한 지면 탓에 속도를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시간 기록 단축보다는 완주 그 자체를 가장 큰 성과이자 영광으로 여긴다. 엄청난 비용과 상상을 초월하는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탓에, 이 꿈의 무대에 서는 일반인 참가자의 수는 매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