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후가 밝힌 김하성 샌프란시스코 이적 가능성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외야수 이정후(27)가 지난 13일 시즌 준비를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면서 김하성(30)과 관련된 이야기를 꺼냈다. 

 

이정후는 샌프란시스코 구단이 김하성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고 전하며, "구단에서도 물어볼 수 있다. 몸 상태 같은 것을 물어봤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정후는 "형을 데려오라고 직접 말하지는 못했다"며 김하성의 향후 행선지에 대해 간접적인 응원을 보냈다. 이어 "하성이 형이 어느 팀에 가든 좋은 대우를 받고 잘했으면 좋겠다"며, "아직 계약 소식은 없지만 좋은 팀과 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샌프란시스코는 유격수 보강을 위해 김하성을 주목해왔고, 그가 주로 뛰었던 유격수 포지션을 채울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김하성이 어깨 수술을 받으면서 그의 몸값은 예상보다 낮아졌다. 김하성은 이전에 1억 달러 이상의 계약이 예상됐지만, 부상 이후 시장에서의 가치가 반감됐다. 이에 샌프란시스코는 1억8200만 달러에 윌리 아다메스를 영입하면서 주전 유격수 문제를 해결했다. 아다메스를 영입한 샌프란시스코는 김하성과의 연결고리가 약해졌지만, 여전히 그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언론은 김하성의 다음 행선지로 샌프란시스코를 다시 주목하고 있다. MLB.com은 샌프란시스코가 김하성을 영입하면 2루수에서의 약점을 보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하성이 어깨 수술을 마친 후 건강을 회복한다면, 샌프란시스코가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 레이스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샌프란시스코의 2루수는 타일러 피츠제럴드(28)가 맡고 있지만, 그가 주전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김하성이 회복하면 피츠제럴드와 함께 2루수 자리에서 키스톤 콤비를 이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김하성의 주가는 타격보다는 수비에서 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는 샌디에이고에서 유격수와 2루수, 3루수를 모두 소화하며 메이저리그 정상급 내야수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23년에는 내셔널리그 유틸리티 부문 골드글러브를 수상하며 아시아 내야수 최초로 이 기록을 세웠다. 다만 타격은 KBO리그 시절과 비교해 다소 아쉬운 수준으로 평가된다. 김하성은 2023년 타율 0.260, 17홈런을 기록했으며, 주력에서 장점을 보였다. 도루는 2023년 38개, 2024년에는 22개를 기록하며 여전히 빠른 발을 자랑했다.

 

김하성은 2021년 시즌을 앞두고 샌디에이고와 4년 2800만 달러(약 403억원)에 계약을 체결하며 메이저리그에 도전했다. 이후 주전으로 자리 잡은 그는 4시즌 동안 540경기에서 타율 0.242, 47홈런, 78도루를 기록했다. 현재 5번째 시즌을 준비 중인 김하성은 어느 팀의 유니폼을 입게 될지, 샌프란시스코가 그와의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행핫클립

"쇼핑, 고궁은 이제 그만"…외국인들 지갑 열게 할 진짜 'K-체험' 15가지 나왔다

한국을 방문한 외래객의 88.3%가 단체 여행이 아닌 개별 관광객이었다는 통계는 이러한 변화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들은 정해진 일정에서 벗어나 현지에서 직접 단기 투어 상품을 결제하고 참여하는 경향이 짙은데, 특히 미국, 호주, 독일 등 구미대양주 관광객의 경우 그 비율이 24.2%에 달해 전체 평균인 9.5%를 훌쩍 뛰어넘는다. 이에 한국관광공사는 변화된 수요에 발맞춰 한국 문화(K-컬처)의 매력을 극대화한 15개의 특화 여행 상품을 선정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개별 관광객 유치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이번에 선정된 상품들은 기존의 획일적인 관광 코스에서 과감히 탈피한, 독창적이고 깊이 있는 콘텐츠로 무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총 118개의 상품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이번 공모전에서 단연 눈길을 끈 것은 영화 '파묘' 등의 흥행으로 서구권에서도 관심이 높아진 한국의 오컬트와 무속 신앙을 테마로 한 '신당동 고스트 투어'다. 과거 시신이 나가던 문이었던 광희문의 역사적 배경부터 영화 소품에 담긴 상징적 의미까지, 서양의 '고스트 투어' 형식을 빌려 한국의 독특한 정신문화를 흥미롭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을 넘어, 한 나라의 문화적 심층을 이해하고자 하는 지적 호기심이 강한 구미주 관광객들의 취향을 정확히 저격한 기획이라 할 수 있다.오컬트라는 이색적인 주제 외에도, 지역의 삶과 역사를 오롯이 체험할 수 있는 상품들이 대거 선정되어 K-컬처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부산 흰여울문화마을과 어촌 체험 투어'는 참가자가 직접 다시마 장아찌를 만들어보고 해녀촌에서 갓 잡은 해산물을 맛보는 등, 부산의 역사와 현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밖에도 전문가의 해설과 함께 한국의 식문화를 깊이 있게 탐방하는 'K-푸드 도슨트 투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제주 해녀의 삶과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 단 하루 만에 한국의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을 배워보는 '가야금 1일 강좌' 등,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매력적인 상품들이 이름을 올렸다.한국관광공사는 단순히 우수 상품을 선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관광 콘텐츠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향후 1년간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직접 상품을 체험하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모니터링 투어를 진행하는 한편, 각 상품의 매력을 담은 고품질 홍보 콘텐츠를 제작해 'VISITKOREA' 플랫폼과 해외 지사 소셜미디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또한, 해외에서 열리는 한국 관광 로드쇼 및 박람회에서도 이들 상품을 집중적으로 홍보하며, '한국인의 일상' 그 자체를 하나의 거대한 관광 자원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이는 방한 관광 시장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재방문율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