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백, 작년에만 '이 메뉴' 250만 개 팔았다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의 스테디셀러 '투움바 파스타'가 지난해에도 변함없는 인기를 과시했다.

 

아웃백은 2022년 한 해 동안 전국 96개 매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메뉴를 분석한 결과, 투움바 파스타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고 21일 밝혔다. 작년 한 해 동안 팔린 투움바 파스타는 무려 250만개에 달한다. 2006년 첫 출시 이후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파스타 메뉴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스테이크 부문에서는 '블랙라벨 스테이크'가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했다. '갈릭 립아이', '짐붐바 스테이크' 등 기존 인기 메뉴와 더불어 프리미엄 스테이크인 '토마호크', '포터하우스' 등도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스테이크 명가 아웃백의 명성을 입증했다. 특히 '토마호크 스테이크'는 압도적인 비주얼과 맛으로 SNS 상에서 화제를 모으며 아웃백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디저트 부문에서는 '초콜릿 썬더 프롬다운 언더'가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지난해 11월 새롭게 출시된 '하겐다즈 초콜릿 with 크리스피 크로와상'은 출시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단숨에 디저트 메뉴 2위 자리에 올랐다.

 

아웃백은 시즌 한정 메뉴를 통해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기도 했다. 여름 시즌 한정으로 선보인 '블랙라벨 쉐프 에디션 with 타바스코 스콜피온 소스'와 시원한 청포도 에이드 '프루티 그라니따'는 각각 25만개, 60만개 이상 판매되며 높은 인기를 누렸다.

 

아웃백 관계자는 "앞으로도 고객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메뉴 개발과 차별화된 미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여행핫클립

뉴진스 멤버가 뛰러 갔다는 '이 마라톤', 참가비만 3300만원?

tic Ice Marathon)'이다. 평소 마라톤을 취미로 알려진 해당 멤버가 다음 달 열리는 이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남극으로 향한 것이 아니냐는 팬들의 추측이 제기되면서, 일반인에게는 생소했던 극한의 레이스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 마라톤은 매년 12월, 남반구의 겨울에 해당하는 시기에 남극 대륙의 유니언 글레이셔 인근에서 펼쳐지는 42.195km 풀코스 경주로, 지구상에서 가장 특별하고 혹독한 레이스 중 하나로 꼽힌다.남극 얼음 마라톤은 일반적인 도시 마라톤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극한의 환경에서 진행된다. 평균 체감온도는 영하 20도를 밑돌고, 발은 푹푹 빠지는 설상과 미끄러운 얼음 위를 달려야 한다. 여기에 더해 남극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부는 차갑고 강력한 활강풍, 이른바 '카타바틱 윈드'가 끊임없이 몰아치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와 거센 바람을 온몸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일반적으로 칠레 최남단 도시인 푼타 아레나스에서 전용기를 타고 남극 현지 베이스캠프로 이동한 뒤 레이스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그 과정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탐험과도 같다.이처럼 혹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남극 얼음 마라톤은 전 세계 모험 마라토너들에게 '꿈의 대회'로 불린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오세아니아, 그리고 남극까지 지구의 7대륙 모두에서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7대륙 마라톤 클럽' 가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관문이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한 대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된 참가비용은 1인당 2만 2,5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3,282만 원에 달한다. 이 비용에는 남극까지의 왕복 항공편, 현지 캠프 숙박 및 식사, 전문적인 의료 및 안전 지원, 그리고 특수 장비 대여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비싼 참가비만큼이나 준비 과정 역시 까다롭기 그지없다. 극한의 추위 속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생명과 직결되므로 여러 겹의 기능성 의류를 껴입는 것은 기본이며, 눈과 얼음 위를 달리기 위한 특수 설상화와 아이젠, 얼굴 전체를 감싸는 방한 마스크 등 전문적인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실전 레이스에서는 거센 바람과 불안정한 지면 탓에 속도를 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시간 기록 단축보다는 완주 그 자체를 가장 큰 성과이자 영광으로 여긴다. 엄청난 비용과 상상을 초월하는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탓에, 이 꿈의 무대에 서는 일반인 참가자의 수는 매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