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은 무덤 속에? 무안공항 개량사업 의혹, 고인과 함께 묻히나

 무안공항 개량공사시 역임했던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숨진채 발견됐다. 

 

2020년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공사 당시 수장이었던 손창완 전 한국공항공사 사장이 21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당시 공사를 둘러싼 의혹들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 경위를 조사 중이지만, 손 전 사장이 재임 시절 추진했던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사업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었던 만큼, 그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손 전 사장은 2018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한국공항공사 사장을 역임하며 2020년 5월 무안공항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개량 사업을 진행했다. 

 

문제는 해당 사업 과정에서 제기된 안전 불감증 논란이다. 한국공항공사는 2020년 3월 입찰 공고 당시 장비 안테나 및 철탑, 기초대 등 계기 착륙시설 설계 시 '부러지기 쉬움'을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실제 개량 공사에서는 안테나 부분만 부러지기 쉽게 설계되었고, 콘크리트 둔덕은 그대로 방치되었다. 이후 해당 콘크리트 둔덕은 제주항공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논란이 증폭되었다.

 

일각에서는 손 전 사장이 경찰 출신으로 2011년 경찰대학장까지 역임한 인물이라는 점을 들어, 안전에 대한 그의 무감각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2016년 20대 총선 낙선 후 한국공항공사 사장으로 취임했지만, 전문성 부족 논란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경찰은 손 전 사장의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그의 죽음으로 인해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개량사업을 둘러싼 의혹들은 더욱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철저한 진상규명을 통해 고인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을 해소하고, 향후 유사한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여행핫클립

"환율 올라도 괜찮아"…여권 없이 즐기는 서울 속 세계여행지 BEST 4

축소판’으로 불리는 이태원은 그 대표적인 예다. 한국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이슬람 사원인 서울중앙성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이슬람 거리는 방문객에게 마치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온 듯한 이국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할랄 식당과 독특한 상점들이 즐비한 이곳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서울의 다채로운 매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잠시나마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는 즐거움을 안겨준다.유럽의 감성을 느끼고 싶다면 종로구 안국동으로 발걸음을 옮겨볼 만하다. 이탈리안 베이커리 카페 ‘아모르 나폴리’는 크림색 외관부터 이탈리아 현지 빵집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화덕에서 갓 구운 피자빵과 나폴리식 도넛, 럼 시럽에 절인 ‘바바’ 등 현지 스타일의 다채로운 빵과 디저트는 미식가들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한편, 강남에서는 뉴욕의 활기찬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서초동의 ‘드렁큰빈’은 건물 전체가 뉴욕을 테마로 꾸며져 있다. 입구의 노란색 레트로 택시부터 뉴욕 지하철역처럼 꾸민 내부 인테리어까지, 공간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감성은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물한다.조금 더 특별한 이국의 정취를 원한다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인근의 중앙아시아 거리로 가보자. 1990년대부터 러시아, 몽골,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 온 이들이 모여들며 형성된 이곳은 이제 서울에서 중앙아시아 문화를 가장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자리 잡았다. 화덕에서 전통 빵 ‘삼사’를 굽는 모습과 양꼬치, 샤슬릭 등 평소 접하기 힘든 현지 음식들은 마치 실크로드의 어느 도시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현지인들이 즐겨 찾는 식당에서는 보르쉬, 라그만 등 한국에서 맛보기 힘든 다채로운 중앙아시아 요리를 경험하며 음식으로 떠나는 여행을 즐길 수 있다.이처럼 서울은 이태원의 이슬람 문화부터 안국동의 작은 이탈리아, 강남의 뉴욕, 동대문의 중앙아시아까지, 비행기를 타지 않고도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듯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각기 다른 역사와 문화를 품은 이 공간들은 단순히 이국적인 분위기를 흉내 내는 것을 넘어, 그 지역의 음식과 삶의 방식을 오롯이 담아내고 있다. 고환율 시대에 멀리 떠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래는 것을 넘어, 우리 곁에 자리한 작은 세계를 발견하고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는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