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활동 포기하고 그룹 선택'... 충격적인 피에스타 재결합 과정 공개

 걸그룹 피에스타가 6년간의 공백을 깨고 완전체로 재결합하여 본격적인 활동 재개에 나선다. 멤버 차오루는 9일 자신의 SNS를 통해 "피에스타 다시 왔어요. <<라디오스타>> 같이 출연 후에 덕분에 회사 문의 들어오고 같이 계약했어요. 고생 끝에 락이 있어요. 앞으로 잘 부탁해요"라는 소감을 전하며 팬들에게 기쁜 소식을 알렸다.

 

2012년 데뷔한 피에스타는 'Vista', '짠해', 'Apple Pie' 등 다양한 히트곡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2018년 공식 해체 이후 멤버들은 각자의 길을 걸어왔다. 하지만 팬들의 꾸준한 지지와 응원, 그리고 차오루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에 그룹은 다시 뭉치게 되었고, 최근 봄날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을 체결하며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특히 차오루의 헌신적인 노력이 재결합의 원동력이 되었다. 그녀는 중국에서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자금을 모아 피에스타의 대표곡 '짠해'의 저작권을 구매하는 등 그룹 재결합을 위한 남다른 열정을 보여주었다. 또한 개인 계약 제안을 과감히 거절하고, 피에스타 완전체로서 활동할 수 있는 소속사를 찾기 위해 직접 발로 뛰며 그룹의 재결합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피에스타는 지난 8월 데뷔 12주년을 기념해 리메이크 싱글 '짠해 2024 ver'을 발매하며 복귀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제 봄날엔터테인먼트와의 정식 계약을 통해 더욱 체계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예고하고 있어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차오루의 이러한 헌신적인 노력과 그룹에 대한 애정은 팬들 사이에서도 큰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팬들은 "이렇게까지 해줘서 너무 고마워", "역시 차오루의 열정 대단하다", "피에스타 완전체 무대 빨리 보고 싶다" 등 뜨거운 반응을 보내며 그룹의 재결합을 환영하고 있다.

 

피에스타의 이번 재결합은 단순한 그룹의 활동 재개를 넘어, 한 멤버의 끈질긴 노력과 헌신이 만들어낸 감동적인 스토리로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특히 K-팝 산업에서 해체 후 완전체로 재결합하는 사례가 드문 가운데, 피에스타의 이번 재결합은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봄날엔터테인먼트와 새롭게 계약한 피에스타는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팬들 앞에 서게 될지, 그리고 차오루를 비롯한 멤버들의 열정이 어떤 성과로 이어질지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6년 만에 돌아온 피에스타의 새로운 여정이 지금 막 시작되었다.

 

여행핫클립

결국 터졌다…엔저 업고 일본 달려간 한국인들, 3분기 카드값 '역대 최고'

, 체크, 직불카드를 통해 해외에서 결제된 금액은 총 59억 3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3% 증가한 수치일 뿐만 아니라, 종전 최대치였던 지난해 3분기의 57억 1000만 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에 해당하며, 팬데믹 이후의 회복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이러한 폭발적인 소비 증가는 명백하게 해외여행의 회복세에서 비롯됐다. 법무부 출입국통계에 따르면, 3분기 동안 해외로 떠난 내국인 출국자는 709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4.8% 증가하며 카드 사용액 증가율과 거의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특히 엔데믹 이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 수요가 견고하게 유지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상반기 내내 고공행진하던 원·엔 환율이 3분기 들어 다소 안정세를 찾은 것 역시 일본 여행 소비를 부추기는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흥미로운 점은 전체 해외 카드 사용액이 급증하는 동안, 해외 온라인 쇼핑을 통한 직접구매, 즉 '직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3분기 해외 온라인 직구 결제액은 15억 3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 줄어들어, 이번 역대급 해외 소비 기록이 순전히 여행 수요의 폭발에 힘입은 결과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결국 한국인들이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직접 해외로 나가 현지에서 소비하는 패턴으로 완전히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름 성수기 효과가 9월까지 이어지고, 저비용항공사(LCC)를 중심으로 항공사들이 일본, 동남아 노선 공급을 대폭 늘리며 여행의 문턱을 낮춘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이미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사용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을 넘어선 만큼, 연간 기준 사상 최대 기록 경신은 거의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주요 여행사들은 이미 4분기 예약률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 역시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연말 성수기라는 가장 큰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해외를 향한 한국인들의 소비 행렬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새로운 기록을 계속해서 써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