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8캔이 당신의 뇌를 '치매 폭탄'으로 만든다?

 미국 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발표된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8잔 이상 술을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은 치매와 관련된 뇌 병변 발생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교 의과대학의 알베르토 페르난도 올리베이라 후스토 박사가 주도했다.

 

연구팀은 사망 당시 평균 나이 75세인 1,781명의 뇌를 부검해 분석했다. 이들의 음주량은 유족을 통해 조사했으며, 음주량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눴다: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965명, 일주일에 7잔 이하 마신 보통 음주자 319명, 일주일에 8잔 이상 마신 과음자 129명, 그리고 과거 과음자 386명이다.

 

연구에서 술 한 잔은 순수 알코올 14g으로 정의했는데, 이는 맥주(4.5%) 355㎖, 포도주(12%) 148㎖, 위스키(40%) 44㎖, 또는 17도짜리 소주 약 103㎖(360㎖ 기준 약 3.5분의 1병)에 해당하는 양이다.

 

부검 결과,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 중 40%가 혈관성 뇌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적당히 마신 사람은 45%, 과음자는 44%, 과거 과음자는 50%가 혈관성 뇌 병변으로 진단됐다. 사망 연령, 흡연, 신체 활동 등 뇌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정한 결과,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과음자는 혈관성 뇌 병변이 있을 확률이 133%, 과거 과음자는 89%, 보통 음주자는 60% 더 높았다.

 


특히 과음자와 과거 과음자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 엉킴(tau tangles) 발생 위험이 각각 41%와 31% 더 높았다. 또한 과거 과음자는 체중 대비 뇌 질량 비율이 낮았고, 인지 능력 저하 징후도 확인됐다. 보통 음주자와 과음자의 경우에는 체중 대비 뇌 질량 비율에 차이가 없었으며, 인지능력 저하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충격적인 사실은 과음자가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 13년 일찍 사망했다는 점이다. 후스토 박사는 "과음은 뇌의 손상 징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이는 뇌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쳐 기억력과 사고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교 공중보건대학원의 리나 웬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단기적으로 알코올 사용은 뇌의 통신 경로를 교란시켜 뇌가 사고, 조정, 균형, 언어, 판단을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알코올 사용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사고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점진적인 뇌 변화를 겪을 수 있으며, 소량의 알코올조차 조기 노화와 뇌 수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단순히 일시적인 취기를 넘어 뇌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이것이 치매와 같은 심각한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중요한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여행핫클립

"베팅 한도 200배 올렸지만…" 규제에 발목 잡힌 강원랜드의 '슬픈 몸부림'

1.7% 증가했지만, 이는 K-관광 열풍을 타고 급성장하는 외국인 전용 카지노들의 실적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파라다이스, 그랜드코리아레저(GKL), 롯데관광개발 등 경쟁사들은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확대 등에 힘입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파라다이스는 영업이익이 38% 급증했고, GKL과 롯데관광개발은 각각 244%, 103%라는 경이로운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뚜렷한 실적 대비는 강원랜드가 처한 현실과 구조적인 문제를 명확히 보여준다.강원랜드의 부진은 단순히 운이 따르지 않아서가 아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중, 삼중으로 얽힌 다중 규제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한다.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내국인 출입이 가능하다는 이유만으로 '매출총량제'와 '이용객 규제'라는 족쇄에 묶여있는 것이다. 출입일수 제한부터 베팅 한도까지, 촘촘하게 짜인 규제망은 강원랜드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하는 데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적인 K-관광 수요가 급증하는 절호의 기회 속에서, 정작 국내 대표 카지노는 규제에 발목 잡혀 제대로 된 날갯짓조차 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물론 강원랜드도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승인 아래 지난해부터 단계적으로 베팅 한도를 상향하며 실적 개선을 꾀하는 중이다. 지난 2월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 외국인 전용 카지노 존에서는 테이블 베팅 한도를 기존 1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무려 200배나 확대했으며, 향후 해외 경쟁 카지노 수준인 3억 원까지 추가 상향을 계획하고 있다. 내국인 VIP 고객 테이블 역시 지난 5월부터 베팅 한도를 기존 500만 원에서 최대 3000만 원까지 올리는 등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4분기에는 추석 명절 연휴 효과까지 더해져 3분기보다는 나은 실적을 기대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규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이러한 노력은 미봉책에 그칠 수밖에 없다.결국 강원랜드가 글로벌 복합 리조트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으로 흩어져 있는 감독 체계를 하나로 모으는 통합관리 기구 도입과 함께,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규제들을 과감히 걷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강원랜드 역시 오는 11월 'K-HIT 비전대회'를 열고 2조 5000억 원 규모의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규제의 틀을 넘어서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카지노 면적 확장과 게임 기구 증설 등을 통해 2027년까지 글로벌 복합 리조트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지만, 정부의 전향적인 지원 없이는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지금이야말로 강원랜드를 옭아매는 규제의 사슬을 끊고, K-관광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을 골든타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