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매체도 울었다…'고향 친구' 이은혜의 14년 묵은 한, 마침내 풀리다

 중국에서 귀화한 탁구선수 이은혜가 14년 만에 국내 프로탁구 정상에 오르며 흘린 뜨거운 눈물이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지난 16일 광명시민체육관에서 열린 2025 두나무 한국프로탁구리그(KTTL) 파이널스 여자 단식 결승전, 이은혜는 상대 양하은을 게임스코어 3-0으로 완파하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마지막 포인트가 결정되는 순간, 그는 코트에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싼 채 한동안 흐느꼈다. 2011년 한국 국적을 취득한 이후 무려 14년 만에 차지한 첫 개인 단식 타이틀이었기에 그 감격은 더욱 남달랐다. 앞서 열린 시리즈 1, 2에서 모두 16강 탈락의 고배를 마셨던 그였기에 이번 파이널스 우승은 그간의 마음고생을 한 번에 씻어내는 값진 결과물이었다.

 

이은혜의 탁구 인생은 1995년 중국 허베이성에서 시작되었다. 탁구 강국 중국에서도 손꼽히는 유망주였던 그는 더 큰 꿈을 펼치기 위해 2011년, 16살의 어린 나이에 중대 결심을 한다. 1988 서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양영자 당시 대한항공 감독의 눈에 띄어 한국행을 택하고 귀화 절차를 밟은 것이다. 세계 최강 중국의 높은 벽을 넘는 대신, 태극마크를 달고 올림픽에 출전하겠다는 새로운 목표를 품고 낯선 땅에서의 도전을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 탁구계에 첫발을 내디딘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장밋빛 미래가 아닌 험난한 가시밭길이었다.

 


기대와 달리 태극마크를 다는 과정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뛰어난 실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20대 중반이 되도록 국가대표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특히 2020 도쿄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의 탈락은 그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당시 선발전 3위를 차지하며 실력으로 단체전 멤버 자격을 증명했지만, '귀화 선수는 최대 2명까지만 출전할 수 있다'는 규정에 발목이 잡혔다. 이미 대표팀에 자리 잡고 있던 다른 중국 출신 귀화 선수 전지희, 최효주에 밀려 올림픽 무대를 눈앞에서 놓쳐야만 했다. 실력 외적인 이유로 꿈이 좌절된 아픔 속에서도 그는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라켓을 놓지 않았다.

 

기나긴 기다림과 설움의 시간은 2024년이 되어서야 끝이 났다. 마침내 그토록 염원하던 태극마크를 가슴에 단 이은혜는 파리 올림픽 단체전에서 신유빈, 전지희와 함께 값진 동메달을 합작하며 자신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중국의 수많은 정상급 선수들도 이루지 못한 올림픽 메달의 꿈을 이룬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올해, 14년 만의 국내 프로리그 정상 등극으로 화룡점정을 찍었다. 그의 우승 소식을 접한 중국 현지 매체조차 "이은혜가 짊어진 압박이 얼마나 컸을지 짐작할 수 있다. 그의 눈물은 한국에서 얼마나 고생했는지를 설명한다"며 그의 험난했던 여정에 깊은 공감을 표했다. 14년의 인고 끝에 흘린 그의 눈물은 단순한 기쁨을 넘어, 한 인간의 끈기와 집념이 만들어낸 감동의 서사 그 자체였다.

 

여행핫클립

"쇼핑, 고궁은 이제 그만"…외국인들 지갑 열게 할 진짜 'K-체험' 15가지 나왔다

한국을 방문한 외래객의 88.3%가 단체 여행이 아닌 개별 관광객이었다는 통계는 이러한 변화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들은 정해진 일정에서 벗어나 현지에서 직접 단기 투어 상품을 결제하고 참여하는 경향이 짙은데, 특히 미국, 호주, 독일 등 구미대양주 관광객의 경우 그 비율이 24.2%에 달해 전체 평균인 9.5%를 훌쩍 뛰어넘는다. 이에 한국관광공사는 변화된 수요에 발맞춰 한국 문화(K-컬처)의 매력을 극대화한 15개의 특화 여행 상품을 선정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개별 관광객 유치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이번에 선정된 상품들은 기존의 획일적인 관광 코스에서 과감히 탈피한, 독창적이고 깊이 있는 콘텐츠로 무장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총 118개의 상품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이번 공모전에서 단연 눈길을 끈 것은 영화 '파묘' 등의 흥행으로 서구권에서도 관심이 높아진 한국의 오컬트와 무속 신앙을 테마로 한 '신당동 고스트 투어'다. 과거 시신이 나가던 문이었던 광희문의 역사적 배경부터 영화 소품에 담긴 상징적 의미까지, 서양의 '고스트 투어' 형식을 빌려 한국의 독특한 정신문화를 흥미롭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을 넘어, 한 나라의 문화적 심층을 이해하고자 하는 지적 호기심이 강한 구미주 관광객들의 취향을 정확히 저격한 기획이라 할 수 있다.오컬트라는 이색적인 주제 외에도, 지역의 삶과 역사를 오롯이 체험할 수 있는 상품들이 대거 선정되어 K-컬처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부산 흰여울문화마을과 어촌 체험 투어'는 참가자가 직접 다시마 장아찌를 만들어보고 해녀촌에서 갓 잡은 해산물을 맛보는 등, 부산의 역사와 현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밖에도 전문가의 해설과 함께 한국의 식문화를 깊이 있게 탐방하는 'K-푸드 도슨트 투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제주 해녀의 삶과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 단 하루 만에 한국의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을 배워보는 '가야금 1일 강좌' 등,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매력적인 상품들이 이름을 올렸다.한국관광공사는 단순히 우수 상품을 선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관광 콘텐츠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향후 1년간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직접 상품을 체험하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모니터링 투어를 진행하는 한편, 각 상품의 매력을 담은 고품질 홍보 콘텐츠를 제작해 'VISITKOREA' 플랫폼과 해외 지사 소셜미디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또한, 해외에서 열리는 한국 관광 로드쇼 및 박람회에서도 이들 상품을 집중적으로 홍보하며, '한국인의 일상' 그 자체를 하나의 거대한 관광 자원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다. 이는 방한 관광 시장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재방문율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